반응형
전세 계약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핵심 사항을 정리한 체크리스트를 알려드립니다. 전세 계약 전 6가지, 계약 중·후 6가지를 통해 내 소중한 보증금을 안전하게 보호하세요. 특히 요즘처럼 전세 사기가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시기에는 계약 단계별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전세 계약 전 확인사항
- 주택 시세와 전세 보증금 적정성 확인
- 최근 거래된 전세 시세와 비교해 과도하게 높거나 낮은 금액은 아닌지 확인하세요. 부동산 중개사이트나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 선순위 임차보증금 여부 확인
- 해당 주택에 나보다 먼저 들어온 세입자가 있는 경우, 그 보증금이 내 보증금보다 먼저 보호받을 수 있으니 등기부등본과 확정일자 정보를 확인해야 합니다.
- 등기부등본 확인
- 등기부등본은 해당 부동산의 소유자, 근저당, 가압류 등의 정보가 기재된 문서입니다. 정부의 '정부 24' 사이트 또는 인터넷 등기소에서 누구나 발급 가능합니다.
- 위반 건축물 여부 확인
- 건축법에 위반된 건축물은 추후 철거 명령이나 입주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해당 구청 또는 건축행정시스템(세움터) , '정부 24'사이트에서도 해당 주소의 건축물대장을 확인하시면 '위법 건축물' 등재 사항 여부를 누구나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임대인 세금 체납 여부 확인
- 임대인의 세금 체납이 있는 경우, 세무서에서 해당 부동산에 압류를 걸 수 있으므로 세금 체납 여부도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전세보증보험 가입 가능 여부 확인
전세보증보험은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상황에 대비하는 제도입니다. HUG, SGI 서울보증 등에서 가입 가능 여부를 사전에 확인해 두세요.
🔍 전세 계약 중·후 확인사항
- 계약 사항 및 권리 변동 사항 재확인
- 계약 후 잔금을 치르기 전까지 등기부등본을 다시 확인해 새로운 근저당이나 권리 변경이 없는지 반드시 체크하세요.
- 임대인 본인 여부 확인
- 계약 상대가 실제 집주인이 맞는지 확인하세요. 대리인이 나올 경우 위임장과 인감증명서를 반드시 요구하고 서류상의 정보와 대조해야 합니다.
- 임차인의 권리 특약사항으로 명시
- 계약서에 특약으로 ‘계약일 이후 저당권 설정 금지’, ‘세금 체납 시 계약 해제 가능’ 등의 조항을 명확히 기재하세요. 이는 법적 분쟁 시 강력한 보호 장치가 됩니다.
- 개업공인중개사 여부 확인
- 정식 등록된 공인중개사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심전세 앱, 브이월드, 또는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사이트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받기
- 이사 후 14일 이내에 주민센터에서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받아야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신분증과 임대차계약서를 지참하세요.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
- 보증금 반환보증은 계약 종료 시 집주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는 경우, HUG 등이 대신 지급해 주는 제도입니다. 안심전세 앱, 토스, 은행 앱 등으로 간편 신청 가능합니다.
🌿 전세 사기 예방하고 마음까지 안심할 수 있도록 꼭 확인
전세 계약은 단순한 서류 작업이 아니라, 내 생활의 큰 변화를 동반하는 중요한 결정입니다.
숫자와 조건을 넘어서 ‘안심’이라는 마음의 여유까지 챙기는 것이 진짜 계약입니다.
이 글을 통해 작은 실수 하나 없이, 당신의 새로운 시작이 더 따뜻하고 안전하길 바랍니다.
오늘도 신중한 한 걸음, 내일을 지키는 힘이 됩니다.
전세 계약 전 6가지 + 계약 중·후 6가지 = 총 12가지 체크포인트!
꼭 확인하셔서 안전한 부동산 거래 하세요!
반응형
'경제 및 금융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술활동증명 예술활동준비금신청으로 300만원 지원금 혜택 받기 (14) | 2025.06.04 |
---|---|
청년매입임대주택 소득·자산 기준 보는 법 (10) | 2025.05.30 |
2025년 6월부터 달라지는 임대차 신고제 (2) | 2025.05.29 |
임대보증금 보증 가입정보 안내문자 확대시행! (2) | 2025.05.28 |
해외 병원비 걱정 줄이는 3가지 방법 (12) | 2025.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