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세계약 전, 임대인 정보 사전확인으로 전세사기 예방

by 아톡톡 2025. 5. 28.
반응형

임대인 정보 사전확인 전세사기 예방 텍스트

2025년 5월 27일부터 임대인의 동의 없이도 사전에 임대인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제도가 확대 시행됨에 따라 그 관련된 정보 및 조회방법을 포스팅합니다. 

🏠 임대인 정보, 이제 계약 전에 확인하세요

국토교통부는 전세사기를 예방하고 임차인의 권리를 강화하기 위해, ‘임대인 정보조회 제도’를 확대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기존에는 임차인이 계약을 체결하고 입주한 후에야 임대인의 이력이나 사고 정보를 조회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계약 전에 확인이 가능합니다.


🏠 임대인 정보 사전확인 , 어떻게 가능할까요?

💧 동의 없이도 조회 가능

임대인의 다주택 여부, 전세금 반환보증 사고 이력 등은 이제 임대인의 동의 없이도 조회가 가능합니다. 이는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에 따라 시행되는 것으로, HUG(주택도시보증공사)의 보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합니다.

💧 조회 방법은?

예비 임차인은 공인중개사를 통해 계약 의사를 밝히고 조회를 신청하거나, HUG 지사에 방문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또한 2025년 6월 23일부터는 ‘안심전세앱’을 통해 비대면 신청도 가능해집니다.

💧 제공 정보는 어떤 내용?

HUG가 보유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정보가 제공됩니다.

  • 보증 가입된 주택 보유 건수
  • 보증 금지 대상 여부
  • 최근 3년간 대위변제 발생 건수

이를 통해 임대인의 보증 사고 위험도에 대한 객관적 판단이 가능합니다.


🏠 전세사기, 미리 예방하세요

국토교통부는 “이번 제도는 임차인이 계약 전에 위험 여부를 미리 파악하고 안전하게 계약할 수 있도록 돕는 실질적인 장치”라며, “앞으로도 전세사기 피해를 차단하기 위한 제도 개선을 지속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전세사기는 계약 전 단 한 번의 확인으로도 예방이 가능합니다. 오늘부터는 전세계약 전, 반드시 임대인 정보를 확인하세요.

반응형